[사설]

지방 의료기관 인력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6일(월) 3차 채용 접수가 마감된 속초의료원 응급전문의엔 단 1명이 지원했다. 해당 의료원은 이미 심각한 인력 공백으로 인해 지난달 1일(수)부터 주4일제로 운영되고 있다. 비단 속초의료원만의 문제가 아니다. 보건복지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방의료원 35곳 중 24곳의 의사 정원이 부족하다. 평균 결원율은 약 18%이며 성남시의료원의 결원율은 34.3%에 달한다.

지방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의 몫이다. 뇌혈관 질환 수술의 경우 서울과 지방 사이 건수 차이가 크다. 해당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선 ‘골든 타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관련 전문의가 부족할수록 회복이 어려운 환자가 늘어난다. 지난해 10월 동아일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8개월간 서울 소재 병원에서 뇌동맥류 수술을 약 1300건 시행하는 동안, 지방에선 평균 50건 미만의 수술이 진행됐다. 

해결책으로 거론되는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대학원으로 운영되는 공공의대엔 일반 대학을 졸업한 사람도 입학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에 의사 수 자체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2020년 코로나19 대확산으로 의료진이 부족해지자 공공의대 설립이 대대적으로 추진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의사 정원을 확충해도 필수의료 인력 확보가 어렵단 대한의사협회의 강력한 반발로 중단됐다. 현재 21대 국회엔 공공의대 설립법안 12개가 계류 중이다. 

공공의대가 그저 생긴다고 해서 의료 공백이 모두 해결되진 않는다. 의사 수를 늘릴 때 필수의료 분야의 인력 확보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응급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등은 서울 소재 병원에서도 인력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진료 분야다. 지난해 7월 서울시 송파구에 있는 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뇌출혈로 쓰러졌지만 당시 수술 가능한 의사가 없어 숨진 바 있다. 2019년 80%에 달했던 소아청소년과의 전공의 확보율은 지난해 기준 27.5%로 급락했다. 해당 상황이 이어진다면 생사가 오가는 중요한 상황에서 환자가 제때 치료 받지 못할 확률이 증가할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공공의대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가 부족하지 않게 해당 분야 학생 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지방의료원의 의료 서비스 질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방에 사는 이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서울로 향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는 공공의대 운영에 강제성을 부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