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달 21일(월)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됐다. ‘최대 36만원의 저축장려금’ ‘이자소득 비과세’ 등의 문구로 개설 전부터 대중의 이목이 집중된 해당 상품은 가입조차 쉽지 않았다. 여러 은행사이트는 마비되기 일쑤였고, 초조함에 은행 창구를 찾은 청년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동일한 상황이란 설명을 듣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야 했다.

예상보다 상품 수요량이 많아지자 출시 이튿날 정부는 청년희망적금 확대 운영을 의결했다. 5부제 기간 동안 가입하지 못한 청년들은 해당 조치로 한시름 놓았다. ‘희망’이란 이름을 가졌음에도 예산이란 벽에 막혀 차별적으로 희망을 선사하는 것은 상품 목적에 맞지 않았다. 그리고 금융위원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청년희망적금 확대 운영을 통해 청년의 저축 수요에 부응하고 장기적·안정적 자산관리를 지원하는 한편, 코로나19 지속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청년층의 자립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걷잡을 수 없는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감소, 그와 대비되는 물가 상승은 청년들의 희망을 앗아갔다. 동학개미운동, 코인 투기 등 현시대 청년들의 행보는 그들의 삶이 얼마나 불안정한지를 대변한다. 최대이율 6%, 세금 면제 혜택 등 분명 기존 상품보다 이득이 큰 것은 맞지만 가입 당일 은행 사이트가 마비 될 정도로 이 상품이 매력적인가. 청년들은 암울한 시대 속 조금이라도 안정된 본인의 미래를 위해 이 상품을 택했다. ‘청년층의 효과적인 자립 지원’이란 정부의 목표가 허상이란 것은 상품을 만든 그들이 더 잘 알 것이다. 허울 좋은 과부란 속담이 이럴 때 사용하라고 있는 모양이다.

청년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크고 작은 선거가 다가오면 후보들은 저마다 청년을 위한 정책을 내놓는다. 대선을 이틀 앞둔 지금, 새로운 대통령에게 청년을 위한 정책을 읍소해야 할까. 청년 우대, 청년 창업 등 매력적으로 들리지만 포퓰리즘적인 그들의 현금성 정책은 실현성이 없다. 

“2년도 길다”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청년에게서 들은 말이다. 청년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세대에게 24개월은 길지 않은 시간으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2년 전, 코로나19의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것처럼 청년들은 2년 뒤 본인의 상황을 예측할 수 없다. 자신의 미래를 위해 매월 50만원을 투자하는 것에도 부담감을 느끼는 청년들이다. 36만원이 아니라 본인의 미래를 위해 맘 편히 투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사회가 그들에게 진정한 ‘희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