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를 맞아 교정도 활기를 되찾았지만, 사회 분위기는 그리 밝지 않아 보인다. 청년 실업이 증가하면서 대두된 이른바 ‘청년 무업자’ 문제도 그 하나일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이미 나타난 현상이다. 청년 무업자란 1990년대 후반 영국에서 나타난 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연령층(16~18세)을 15~34세로 확대하면서 통용되는 용어이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청년 무업자 수는 한국이 80만 명, 일본의 경우 2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산업구조, 인구구조 등 경제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야기됐지만 결국은 사회문제, 가정문제로 귀착된다. 또한 사회진출의 전단계인 대학사회와 사회안전망 구축의 책임자인 정부, 기업 모두 이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일자리 창출이 청년 무업자 해결의 근본적인 처방이나 단기간에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고용창출형 성장산업의 출현, 인구구조의 변화 등은 좀더 시간을 갖고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우리 주변을 보면 니트 문제를 단순히 개인 차원으로 떠넘기는 경향이 있으나 사회 공동의 책임 차원에서 처방책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문부과학성과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예방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부과학성은 학생들의 장래 목표나 직업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각 대학의 ‘커리어교육’ 프로그램에 예산을 중점적으로 배정하고 있다. 또한 중ㆍ고교생의 기업현장체험 기회를 늘리기 위한 프로그램도 도입되고 있다. 다만 실제 니트에 속해버린 젊은이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매우 빈약한 것이 일본의 현실이다. 한국도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니트는 ‘일하지 않고 부모 신세만 지는 자’라는 사회적 편견도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중요한 점은 가족, 타인에 대한 배려일 것이다. 대학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어른들의 책임을 인식하고 그 책임을 다해 나가는 자세와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때로는 꾸짖기도 하지만 그 근저에는 사랑과 애정이 베여 있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대학이 취업경력개발원을 중심으로 취업을 돕기 위한 대학차원의 지원, 멘토프로그램 등이 선행적으로 추진된 것은 평가받을 만하다. 다만 이러한 제도나 시스템이 진정으로 학생 한 명 한 명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학구성원 공동의 본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산업구조, 인구구조의 변화추세를 보면 고용시장의 장기 전망은 결코 어둡지만은 않다. 학생 스스로도 꿈과 희망을 잃지 말고 미래를 향해 차분히 준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