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기자생활을 하다 보면 종종 주변에서 “숙대신보 어때?”라는 질문을 받곤 한다. 인사치레로 건네는 질문이겠지만, ‘어때’라는 말은 만족스럽게 대답하기엔 모호하다. 곧 “많이 힘들어?”라는 질문이 이어진다. “힘들지”라는 대답으로 말을 얼버무리고 나면 우리의 짤막한 대화는 끝이 난다. 하지만 이러한 짧은 대화는 필자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지난 한 주, 필자는 급하게 여러 업무를 진행하게 돼 일주일 내내 시간에 쫓겨야 했다. 당장 인터뷰를 해야 하는 취재원이 연락을 받지 않았으며 설문지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아 기간 내에 할당량을 채우기 어려웠다.

하지만 그 중 가장 힘들었던 점은 처음 맡아보는 사람 면 기사였다. 국내 최초 여성 지휘자인 본교 김경희 관현악과 교수의 인터뷰였는데, 방대한 양의 녹취를 정리하느라 이틀 동안 기숙사 통금시간에 아슬아슬하게 귀가하곤 했다. 취재면의 기사만 작성하던 필자에게 사람면의 형식은 낯설기만 했다. 기사의 내용을 구성하는 일은 막막하게 느껴졌고 실제로 초고를 쓰는 데도 평소보다 긴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이런 경험 또한 숙대신보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입학 전 본교 홍보영상에서 필자의 자부심을 키워주던 ‘김경희 교수님’은 인터뷰 이후 ‘자랑스러운 동문’에서 ‘노력으로 꿈을 이룬 인물’이 돼 있었다. 인터뷰를 통해 현재의 모습을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했는지 생생하게 알게 됐기 때문이다.

숙대신보는 ‘노력이 결과물로 직결되는 곳’이다. 기자가 일주일 동안 기울인 노력은 기사의 질로 나타난다. 점점 자라는 숙대신보에 대한 애정만큼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숙대신보에서 활동하며 필자에게 일어났던 일들은 항상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필자가 “숙대신보 어때?”라는 질문에 섣불리 대답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발간 때마다 필자에게 부여된 많은 업무와 책임감에 몸과 마음은 항상 힘들었고 기사를 위해 무언가를 포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곳은 필자가 ‘가장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는 곳’이라 자신한다. 가끔 나태해질 때, 이곳에서 한 학기 동안 배웠던 가르침을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으려 한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