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칼럼]

지난 10월 29일(일)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추모하는 시민추모대회가 열렸다. 행사엔 유가족과 시민 약 1만7천명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해당 참사로 5명의 자국민을 잃은 주한이란대사도 함께했다. 믿기지 않는 비극의 피해자를 추모하는 물결이 사회 전반에 일렁였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언론은 대형 오보로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세월호 참사 당시 기자들은 출처가 불분명한 사실을 전해 듣고 ‘세월호 탑승객 전원 구조’란 거짓을 그대로 보도했다. 이후에도 오보는 계속됐다. 탑승객 477명 중 368명을 구조했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발표를 그대로 전했지만 이 또한 사실이 아니었다. 실제 생존자는 172명이었다. 당시 언론은 속보 경쟁에 치우쳐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보도하는 경솔함을 보였다. 또한 재난 현장에서 고통받는 유가족에게 인터뷰를 시도해 그들의 심리적·육체적 안정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이후 한국기자협회는 재난 보도 준칙을 제정해 재난 상황을 올바르게 보도하는 길잡이를 발표했다. 해당 준칙엔 ▶인명구조 및 사후 수습 방해 금지 ▶속보 경쟁보다 정확성 우선 ▶공식 발표의 진위와 정확성 검증 ▶피해자와 그 가족의 심리적·육체적 안정 고려 등이 있다.

수많은 언론이 이태원 참사를 보도했다. 언론의 신속한 보도로 시민들은 해당 사안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 지난해 11월 25일(금)부터 30일(수)까지 진행한 ‘이태원 참사 관련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언론은 해당 참사를 신속하게 보도했다’란 항목에 81.2%의 시민이 동의했다. 하지만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분석 보도가 부족했단 평가가 공존한다. 설문에 참여한 시민 중 76%가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부족했다’란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언론의 진정한 역할을 아무도 단정 지을 수 없다. 하지만 펜의 힘을 믿는 언론인이라면 자신만의 도덕적인 보도 준칙 정도는 세울 수 있을 것이다. 각자의 보도 준칙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실만을 전하자. 필자의 보도 준칙은 ‘보도로 개인적인 욕심을 채우지 말자’다. 우리나라는 지나친 속보 경쟁과 경제적 속박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언론을 창설해야 한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