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지난 17일(토)부터 23일(금)까지의 청년 주간이 마무리됐다. 청년 주간은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인 청년의 날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지난 21일(수) 취재차 청년 주간 공식 행사에 참석했다. 행사엔 청년주간 관계자뿐만 아니라 정책에 혜택을 받은 청년들도 함께했다. 오직 청년을 위해 마련된 행사라니 뜻깊었다. 그러나 한편으론 씁쓸했다. 언제부터 청년은 사회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할 대상이 된 걸까.

과거 청년들은 각종 사회운동을 이끄는 주체였다. 우리나라 민주화의 역사적 순간인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대학생들의 거센 움직임이 시발점이 됐다. 그러나 지금의 청년은 어떤가. 취업, 결혼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란 말이 등장한 진 벌써 7년이 지났다. 최근엔 ‘조용한 퇴사’가 대세다. 조용한 퇴사란 받은 만큼만 일하는 심리적 퇴사 행위를 뜻한다. 이를 개인의 일상을 중시하는 새로운 문화가 확산한 결과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회사에 불만 사항이 생겨도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피해버리는 청년의 모습을 의미하기도 한다.

청년은 왜 대응보단 회피를 선택하게 됐을까. 청년을 둘러싼 문제가 쉽게 풀리지 않아서가 아닐까. 취업 시장은 점점 좁아지고 그나마 취업이 가능한 직장도 기업 문화가 구시대적이다. 이 와중에 여태 미뤄온 국민연금 개혁은 청년 1명이 노인 5명을 부양해야 한단 어마어마한 책임을 청년에게 부여하고 있다. 주거는 또 어떤가. 영혼을 끌어모으지 않으면, 혹은 영혼을 끌어모으더라도 맘 편히 살 집조차 얻기 어렵다. 당장의 먹고 살 걱정에 불안감에 떨 청년이 거대한 사회 담론에 대응할 힘이 날 리가 없다. 당장 이번 달 월세가 오르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게 청년의 현실이다.

‘미래를 이끌어가는 주역’이라던 청년이 이젠 보살펴야 할 대상으로 전락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더 나은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청년이 누군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 청년을 단순히 정책의 수혜자 혹은 제안자로 남겨선 안 된다. 이들에게 더 많은 권력을 줘야 한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