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칼럼]

지난달 27일(수) 폴란드와 불가리아로 공급되는 러시아산 파이프라인 천연가스(Pipeline Natural Gas, 이하 PNG) 운송이 중단됐다. 지난 2월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유럽연합 집행위원장과 문재인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카타르산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의 일부를 유럽에 지원하겠다고 협의했다. 우리나라는 천연가스 수송관을 연결할 수 없어 LNG 선박 운송으로 천연가스를 조달한다. LNG는 PNG와 달리 액화 상태로 운송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석유 전량 수입국인 우리나라가 먼 타지인 유럽에 LNG를 제공하게 된 이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 있다.

천연가스 수입의 약 40%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유럽연합은 에너지 위기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친푸틴(Vladimir Putin) 성향을 가진 게르하르트 슈뢰더(Gerhard Schroder) 전 독일 총리는 수송관 추진으로 러시아에 천연가스를 의존하려 했다. 독일은 다른 유럽 국가의 경유 없이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바로 공급받기 위해 ‘노르트스트림1(Nord Stream1)’에 이어 지난해 ‘노르트스트림2(Nord Stream2)’를 완공했다. 현재 노르트스트림2 가동은 중단됐으나 노르트스트림2가 활성화됐다면 유럽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율은 더욱 상승했을 것이다.

에너지가 새로운 전쟁 무기가 됐다. 지난 1973년 발발한 ‘제1차 석유파동’은 전 세계인에게 에너지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1980년대 석탄 사용량을 줄여 환경을 지키고 중동에서 벗어나기 위해 연결한 소련의 수송관은 오늘날 유럽 안보의 허점이 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연합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을 점차 줄이고 오는 2027년까지 수입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에너지 자립을 통한 안보가 주목받고 있다. 원자력에 회의적이던 유럽연합의 정책 방향도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에선 원자력을 적극 권장한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의 재선으로 친원전 성향이 더욱 강화됐다. 자체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 또한 에너지 독립이 필요하다. 어떤 대체에너지가 무자원 국가들의 에너지 안보를 책임지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