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칼럼]

지난달 28일(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는 기후변화에 관한 분석과 대응 방안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이 6번째인 IPCC 보고서의 내용은 앞선 1~5차보다 암울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가 물과 식량 부족, 생물 다양성 감소 뿐만 아니라 범국가적인 경제적 피해, 공동체 약화 등 모든 분야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의 탄소배출량 감소를 강조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더위체감지수가 높아져 야외 노동은 더욱 힘들어 진다. 농업 또한 기상이변과 직결돼 큰 영향을 받는다. 탄소배출로 인한 해빙도 무시할 수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부산 지역의 연간 홍수 피해액은 오는 2070년 약 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경고의 목소리는 정치와 경제 이슈에 묻히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부터 지난 9일(수) 대선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일은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중요한 범지구적 사건은 시작된 지 오래다. 그런데도 환경에 대한 문제 제기는 보이지 않는다. 당장 지난 정부의 환경 정책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정권 교체가 이뤄졌다. 이에 앞으로의 환경 정책은 행방이 묘연해졌다.

환경 보전은 인류의 의무지만 현대 사회는 이를 간과한다. 지난 1962년 미국에선 환경 운동의 촉발제가 된 레이철 카슨(Rachel Carson)의 「침묵의 봄」이 출판됐다. 미국의 해양생물학자 레이첼이 직접 연구한 보고서를 엮은 「침묵의 봄」은 큰 파문을 일으켰다. 레이철의 경고가 대중에게 각인된 이유는 유독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 기후변화는 여러 분야에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반 대중이 이를 알아차리기 어렵다. 환경문제가 대중에게 조명받지 못한다면 이로 인한 결과는 지난해 광주를 덮친 홍수처럼 갑작스러운 재해로 보일 것이다. 이러한 오해가 쌓여 또다시 단기 위험 대비책을 찍어내는 굴레가 계속되지 않기를 바란다.
 

*온도와 습도, 복사열, 기류 등 열 중증을 유발하는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수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