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1월 둘째 주 목요일, 전국 고사장엔 간절한 기운이 감돈다. 학생들은 수년간의 노력을 성적표 한 장에 담고,  대학은  이를 바탕으로 소수에게 환희를 다수에게 좌절을 안긴다. 이러한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집단이 있다. 바로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대학 '지방대'다.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지방대의 몰락을 가속화한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전체 유·초·중등 교육기관의 학생 수는 약 596만명으로 전년 대비 약 5만명 줄었다. 학령인구의 감소는 지방뿐 아니라 전국 대학의 정원 감소로 이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역 불균형 발전과 높은 수도권 거주율로 지방대는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는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 따르면 수도권과 지방 대학 간 취업률 차이는 ▶2017년 2.1%p▶2018년 2.2%p▶2019년 2.7%p로 점차 커졌다.

최근 지방대는 위기를 자체적으로 해결해고자 여러 자구책을 펼친다. 이미지 제고를 위해 ‘국립’ ‘한국’ 등을 강조하는 교명으로 개명 신청을 하거나 신입생에게 등록금을 면제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일시적인 자구책이 실제로 신입생 수를 늘릴지는 미지수다. 교육기관이면서 지역 발전을 도모해야 할 지방대지만 지역 경제 위축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이어지는 주변 지방대의 폐교로 존폐 위기에 놓인 실정이다.

지방대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일정 수준의 교육 질 확보다. 새로운 교육 방식인 ‘공유대학제도’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공유대학제도는 대학 간의 교육 수준을 비슷하게 유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지난 5월 시작된 ‘디지털 신기술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수도권과 지방 소재 대학을 묶어 신기술 분야 경쟁력을 높인다는 취지를 가진다.

올해 수능을 본 재학생은 약 36만 명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약 27만명이다. 20년 뒤의 학령인구 감소가 이미 예견된 셈이다. 동시에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제3기 신도시 개발은 수도권 인구 집중에 일조하며 지방대의 위기에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백년지대계’란 말이 있다. 교육은 백 년을 앞서 국가와 사회 발전을 계획해야 한단 의미다. 지금 우리나라의 교육은 백 년 뒤를 바라보고 있는가. 임시방편이 아닌 지역 균형을 바탕으로 한 근본적인 교육 제도의 혁신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