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기획면에서는 지금까지는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입장을 들어봤다. 그렇다면, 교육 전문가가 생각하는 대학의 모습은 어떨까. 본교 교육학부 송기창 교수를 통해 대학교육의 본질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봤다.

▲ 본교 교육학부 송기창 교수

◆ 대학교의 역할이 무엇이라 생각시나요
흔히 사람들은 대학의 기능을 교육, 연구, 봉사로 얘기합니다.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이고, 연구의 목적은 학문발전이며, 사회봉사의 목적은 사회발전이겠지요. 결국 대학의 목적은 국가발전, 더 나아가 인류발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사회의 대학교는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고 연구 분야 역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지 않습니다.

◆ 교육의 경쟁력이 약화됐다고 말씀하셨는데
대학이 ‘취업양성소’로 바뀌었다는 사실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의 성격이 보통교육으로 전환되면서 교육의 목적이 취업으로 바뀐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이젠 학문만을 고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능하지도 않은 상황이 됐습니다. 따라서 교육이라는 본분에서 멀어진 대학교육은 자연스레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사회적으로 보면 취업은 중요하지요. 그렇다고 대학교육이 마치 취업준비교육으로 인식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요. 학문의 발전도 중요한 대학의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 대학이 취업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는 사회 현상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조건 대학졸업을 요구하는 취업관행은 사라져야 한다고 봐요. 대학을 졸업하지 않아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사회, 학벌보다 능력이 우대받는 사회가 먼저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대학교육의 수요가 줄어들 수 있어요. 대학교육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한 아무리 외국의 좋은 제도를 도입해도 성공하기 어렵지 않을까요.

◆ 대학교 자체의 노력도 필요할 것 같은데
먼저, 대학교는 자율성을 되찾아야 합니다. 대학교육의 성격이 대중교육으로 전환되면서 현재 대학의 자율성이 지나치게 침해당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학교육이 대중화됐기 때문에 대학이 자율성만 내세울 수는 없어요.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야죠.

그러나 국가의 간섭이 지나치고, 기업이 대학의 교육과정까지 좌지우지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고 봐요. 대표적인 사례로, 대학의 취업률을 강조하는 사회현상을 꼽을 수 있지요. 정부로부터 지원받기 위해서는 취업률이 중요한 판단기준입니다. 대학의 성과를 표면적인 수치로 평가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즉, 대학이 스스로 자립할 수 없는 현재의 상황은 대학이 ‘취업양성소’라 불리는 사회 현상과도 무관하다고 할 수 없지요.

따라서 대학은 자율성을 되찾아야 합니다. 대학은 대학교육의 이념에 비춰 스스로 판단하고 자체적으로 평가해서 스스로 개혁해나가야 하는 것이지요.

또, 대학은 ‘교육’이라는 본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현재 어떤 한 분야가 각광을 받지 못한다고 가정합시다. 그것은 그 학문이 사회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단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당장 취업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지만 나중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있어요. 대학은 그런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기르는 역할을 해줘야 해요. 지금은 사회적으로 인기 없는 학문이도 미래의 국가발전을 위해서 대학은 이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학이 실리를 좇아가다 보면 교육이라는 대학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사회에서 각광받지 않는 전공이나 학문분야도 지속적으로 연구를 해서 유지·발전시켜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지요.

◆ 대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대학교육은 본래 아무나 받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소수의 사람만 받을 수 있었어요. 그래서 대학교육을 ‘엘리트교육’이라고 했지요. 그런데 대학교육이 대중화, 보편화되면서 ‘보통교육’의 성격으로 바뀌었어요. 그렇다면, 대학교육이 필요하냐고 묻는 것은 초등교육이 필요하냐는 질문과 별반 다를 바가 없지요.

따라서,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위해서 교육을 받는 것이라면 대학교육도 예외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이라는 건 그 자체로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 자체가 본질적인 가치인 것이지요. 대학교육은 취업을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학문을 탐구하는 것, 이로부터 즐거움을 느끼는 것 자체가 근본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죠. 이는 대학교육의 필요성을 충분히 설명해줍니다. 이제는 대학교육을 수단으로 보지 말고 목적으로 봐야 합니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