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 연재기획② - 입학사정관에 대한 우려와 본교의 입장

  대학 내 입학사정관제의 규모가 커질수록 사정관제도에 대한 관심과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지난 달 26일 세종대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의 <입학사정관제의 성과와 발전방향> 포럼에서는 이 같은 사정관제 운영의 문제점과 우려들을 분석하고, 향후 중장기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에 본지에서는 사정관제 운영에 있어 제기되는 여러 문제점과 우려들 중 대표로 3가지를 뽑아 이에 대한 본교의 입장을 들어봤다.

◆ 입학사정관 전문성ㆍ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종적으로 입학의 당락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진 입학사정관. 그들의 전문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됐다. 포럼에서 지난 2,3월 한국외대 김신영 교수가 고교 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사정관제 학생 선발 절차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가’라는 질문에 응답 교사의 71.4%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런 부정적 결과는 사정관제 기준의 모호성,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에 대한 우려 등이 그 이유로 풀이됐다.

  입학사정관은 각 대학마다 자체적으로 선발해 구성된다. 본교의 경우, 전임 입학사정관과 교수위촉입학사정관으로 구성돼 있는데 전임사정관은 공개채용에 의해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사정관이 선발된다. 본교 교수사정관인 이호섭(교육학 전공) 교수는 “현재 대입전형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임의 경우 연간 150시간, 위촉교수사정관은 120시간의 자체 교육프로그램과 외부 연수에 참여하도록 의무화했다”며 “이외에도 월 2회 이상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류심사와 면접심사 실습을 통해 사정관들이 평가에 필요한 지식을 얻고 전문성을 높이도록 한다”고 전했다.

  한편, 입학사정관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이유가 ‘사정관의 신분상 불안’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신분에 대해 불안감이 있는 사람들이 소신을 갖고 공정하게 평가업무를 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는 것이다. 대교협에 따르면 전임사정관 412명 중 정규직 비율은 21.7%다. 본교의 경우 2009년 당시 사정관의 인원은 6명, 이중 1명이 정규직 신분이었다. 현재는 사정관 인원수 16명 중 6명이 정규직이다. 2009년보다 정규직 비율이 약 21% 증가한 형태다. 이에 대해 본교 입학사정관팀 박은아 팀장은 ‘2008년 사정관전형을 처음 시행한 이후, 뽑는 학생 수가 증가한 만큼 사정관의 인원수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그러나 고용형태는 사정관의 인권비 등 학교가 운영할 수 있는 비용에 한계가 있고, 그 형태를 지금 한 시점에 당장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서서히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 ‘장점만 살려 적은’ 학생생활기록부, 신뢰성 떨어지지 않나

  많은 사정관전형에서는 공교육내에서 펼친 고교학생들의 자기주도 활동을 높이 평가한다. 때문에 유용하게 쓰이는 것이 고등학교의 공식적인 평가기록인 학생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다. 그러나 이 때문에 소위 입학사정관전형을 쓰는 학생들의 학생부를 ‘세탁해주는’ 일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포럼에서 경희대 지은림 교수가 진로진학 상담교사 86명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대학에 합격한 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생부는 '학생의 장점만을 부각해 과대포장하는 측면이 있다', '교사에 따라 학생부 기록의 편차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본교의 입학사정관 전형인 ▲자기주도학습우수자 ▲지역핵심인재 ▲글로벌여성인재 ▲자기추전자전형의 1단계 평가 기준은 모두 학생부의 교과 비교과 활동내역이다. 학생부를 평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학생부의 신뢰성 문제는 본교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안을 모색해야 할 사안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본교 이호섭 교수는 “1차로는 학생부를 토대로 지원자의 학습활동 과정과 성과를 확인하는 것은 맞다”며 “그러나 단순히 그것의 우수성만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추가로 제출한 자기소개서와 추천서 등과 비교해 일관성 있는 기록과 내용만을 유의미한 평가자료로 인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서면을 통해 평가된 지원자의 우수성은 면접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통해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학생부와 같은 서류에만 의존하지 않고 실제 지원자의 역량을 확인한 후에 합격여부를 결정한다”고 전했다.

◆ 사정관제, 사교육비 상승 일으키나

  입학사정관제도가 사교육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게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포럼에서 고교교사 172명, 학부모 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고 밝힌 설문조사에 따르면 '입학사정관 전형이 사교육 감소에 기여했느냐'는 질문에 고작 9.5%만이 긍정적으로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교협은 조사결과 학부모의 51.3%가 입학사정관 전형준비를 위해 사교육기관을 활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서류관련ㆍ면접대비 사교육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인식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교협은 이에 대해 사교육 없이 공교육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 대입에서 좋은 결과를 얻는 사정관전형이 이 같은 인식을 완화해 줄 대안이라며 이에 대한 예시사례로 경희대의 ‘고교교육과정 연계 전형’과 서강대의 ‘학교생활우수자 전형’, 본교의 ‘자기주도학습우수자 전형’이 제시했다.

  이에 대해 본교 입학처는 “‘자기주도학습우수자 전형’은 고교 교육과정을 자기주도적으로 우수하게 이수한 학생이라면 대학교육과정 또한 충분히 잘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해 기획한 전형이다”며 “실제 합격자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혼자 고립된 학습보다는 동료 학생 및 교사와의 적극적인 상호교류 속에서 자신을 개발한 학생들이 대학교육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