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찡하게 내 나라 ‘대~한민국’을 모든 국민이 목청을 돋우어 외칠 6월이 다가온다. 지난 10여 년 간 젊은 부모들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자녀들에게 주기 위해 영어권 조기유학의 붐을 일으켰고 군대에 안가도 되는 미국 국적을 위해 태평양을 수도 없이 건넜다. 이 30-40대 부모들은 오랜 기간 반쪽의 가정을 유지하거나 때론 국적까지 포기하며 비행기를 탔을 터이다. 이 시대를 짊어진 국가사회의 중추인 성년들에게조차 우리 조국은 자긍심과 불안이라는 선명한 두 개의 이미지로 다가온다.

하물며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이미지가 ‘동경과 희망’ 또는 ‘배움의 대상’으로서의 긍정적인 것이라고 우리 스스로 이해하는 것은 인식상의 큰 오류이다. 최빈국의 상황에서 국제고아가 된 북한은 점점 더 호전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지역주의가 그 색을 더해가는 우리의 정치권과 OECD 최하위 수준의 사회부패지수는 글로벌투자가들이 장기적인 투자를 유지하는 것을 방해한다. 대기업 절대의존의 경제구조는 선진국의 그것과 거리가 멀다. 국가신용도 평가가 최근 급속도로 상향조정되는 것에 우리는 고무되지만, 그 성적은 여전히 1995년의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

세계최고의 국가브랜드 경쟁력을 지닌 영구중립국 스위스는 가장 강한 예비군과 민간요새를 지니고 있다. 영국 왕족들은 필히 군경력을 지니고 가장 우선 전쟁터에 자기 자식을 보낸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배워야 할 것’으로 설파한 것은 교육열이지 한국의 교육이 아니다. 우리에겐 “내 딸에게도 피겨스케이팅을 시킬래요”라고 자신 있게 인터뷰하는 김연아도 없다. “내 메달을 빼았겼다”고 억울함을 호소하는 쇼트트랙 선수들이 있는 나라가 우리나라이기도 하다.

분명 우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인해 국가적 손실을 감수하고 있다. 우리의 국가이미지를 개선하고 국가브랜드의 가치를 높여야 하는 절대적 사명이 있기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 우리가 항상 불안이 잠재하는 국가사회나 ‘이해할 수 없는’ 국민으로 국제사회에 투영되지 않을 때 가능하다. 그런 조국을 갈망하기에 6월의 ‘대~한민국’은 더 큰 외침일 것 같다. 그 외침이 정치인은 물론 우리 국민 전체의 가슴에 닿기를 소망한다. 더 크게 외치자 ‘대~한민국.’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