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 문제를 둘러싸고 대한민국이 들썩이고 있다.

서울로 집중된 과밀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처음 시작된 수도 이전 문제가 ‘관습헌법’에 부딪히며 행정수도이전특별법(세종시법)이 위헌으로 결정됐다. 이후 정부가 세종시의 성격을 기존 ‘행정도시’가 아닌 ‘기업도시’로 변경키로 주장하며 현행 행정중심복합도시특별법 개정에 나서기로 공식 선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정치적,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며 세종시 논란이 ‘뜨거운 감자’가 됐다.

세종시 논란을 중심으로 찬반은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여당은 본질론을 주장하며 향후 통일이 된 후 남북관계의 변화에 맞춰 또 다시 수도를 이전할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반면 야당은 전 정부에서부터 추진돼 진행된 안을 갑자기 바꿀 수 없다는 주장을 하며 현 정권을 비판하고 있다.

여기에 박근혜 국회의원이 처음 약속한 일을 지켜야 한다는 원칙을 주장하며 친이, 친박 갈등도 증폭됐다. 심지어는 반대 측에 대한 근거 없는 음모론까지 만들며 국민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더욱이 행정도시의 꿈에 부풀어 있던 충청권 국민들은 바뀐 정책에 이의를 제기하며 이번 세종시 수정 논란은 크고 작은 갈등의 집합소가 됐다.

한반도가 서로의 이익만을 주장하는 사람들로 인해 분열하고 있는 것이다. 언제 우리가 한마음 한뜻으로 나라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했냐는 듯이 서로를 할퀴고 깎아내리기 위해 혈안이다. 합일점을 도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생각하기 보다는 언론매체까지 합세 해 국민들에게 찬성 반대 중 어느 쪽에 줄을 설 것인가 편가르기를 강요하고 있다.

이번 세종시 수정안과 같이 국가적 중대 사안이 논란의 중심에 있을 때는 해결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각자의 주장이 모두 일리가 있어 어느 한 쪽 편을 택해 결정하기엔 후폭풍이 거세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까지고 서로의 주장을 비판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내 생각만을 주장하며 상대에게 주입시키고자 하기보다 상대의 생각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자신의 정치적인 입장과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상대에게 귀를 닫을 것이 아니라 주장의 타당성이나 적절성을 판단해야 할 것이다.

신종플루로 인한 여러 국민들의 안타까운 죽음, 남북 대립 문제 그리고 ‘루저’발언과 같은 국민들을 혼란시키는 여러 이슈들로 힘든 시기, 세종시에 관한 사안마저 여러 사공에 의해 산으로 가야만 하는 걸까.
‘소수’를 위한 무조건적인 주장보다는 ‘전체’를 위한 현명한 해결점을 찾아야 할 시기이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