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가 2009년부터 확대 실시 예정에 놓이면서,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과 암기식 수업에 물든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선 입학사정관제에서 가장 중요한 지원서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논술 등의 전형은 당일 주어진 장소와 한정된 시간에 치뤄야 한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의 중요한 심사 대상이 되는 입시 원서, 자기소개서 등은 작성 기간이 길다. 따라서 과거의 수능 시험에서 종종 발생했던 ‘대리시험’과 같이 전문가가 학생들의 자기소개서를 대필할 수 있고, 학생을 판단하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로 입학사정관의 판단에 의한 평가는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입학사정관에 의해 학생의 입학 여부가 결정되는데, 학생이 가진 능력을 점수화 하기도 어렵고, 개인의 판단에 의해 평가될 경우 다분히 주관적일 우려가 있다. 심사위원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는 논술전형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입학사정관제 또한 그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입학사정관제도를 도입하기 전에 학생의 자격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먼저 마련돼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로서는 입학사정관에 있어 전문성이 부족하다. 학생 선발은 대학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선발하는 핵심 업무이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에게는 이에 맞는 자격이 요구된다. 입학사정관제가 유지된다면 입학사정관은 새로운 세력으로 떠오르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기여 입학’ 등을 ‘입학사정관제 합격’으로 포장하는 식의 비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투명한 제도 운영과 함께 전문성을 겸비한 입학사정관 양성에는 시간이 필요하며, 아직 재정적 투자도 미흡한 형편이다.


대학교의 비전과 목표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겠다는 입학사정관제도의 취지는 좋다. 그러나 학벌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입학사정관제도는 결국 자립형사립고, 명문고, 특목고 등의 우수학생을 위한 제도로 변모해 다른 학생들이 평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뺏어갈 여지가 충분하다. 이처럼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입학사정관제가 확실한 준비 없이 2009학년도부터 실시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신영재(교육 07)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