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적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 혹은 지금도 가끔 끄적이는 낙서. 그 낙서가 예술이 된다?! 장 미셸 바스키아가 그린 낙서는 예술이 됐다. 그래피티 아트라고도 불리는 낙서 예술계의 검은 피카소 장 미셸 비스키아, 그의 낙서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검은 피부를 가진 천재 아티스트=바스키아는 회계사인 아버지와 미술에 조예가 깊었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많은 그림을 접하며 예술에 대한 안목을 높일 수 있었다. 비교적 평범했던 그의 삶은 1978년, 바스키아가 학교를 자퇴하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학교의 불필요하다고 느꼈던 그는 자퇴 후 노숙생활을 하며 맨하튼 건물 벽에 낙서를 했다. 그러던 중 그의 작품들은 당대 유명 미술 평론가 르네 리차드(Rene Richard)의 호평을 받게 된다. 이를 발판삼아 첫 개인전까지 열게 된 바스키아는 이 후, ‘흑인으로서 최초로 성공한 천재 아티스트’라는 칭송을 받으며 당당히 예술가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 했던가. 바스키아는 수많은 작품만을 남긴 채, 27살이 되던 해인 1988년 코카인 중독으로 생을 마감했다.

선생님이자, 친구였던 앤디 워홀과의 우정=바스키아의 삶을 이야기 할 때에는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Andrew Warhola)을 빼놓을 수 없다. 어느 레스토랑에서 바스키아가 앤디 워홀에게 자신의 그림이 그려진 엽서를 판 것을 계기로 서로를 알게 된 그들은 그 후, 서로의 예술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공동으로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고, 어느 화랑의 홍보를 위해 함께 전시 홍보 포스터(사진①)를 찍는 등의 활동을 통해 앤디 워홀은 신예 바스키아에게 신선한 영감을 받고, 바스키아 역시 앤디 워홀과 예술적 교감을 나누며 자신의 예술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때로는 선생님으로서 서로의 작품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때로는 친구로서 서로의 인생을 논하기도 한 바스키아와 앤디 워홀의 우정은 많은 예술가들 사이에서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왕관 쓴 흑인을 그리다=바스키아의 작품들은 거친 선, 이해할 수 없는 형상, 강렬한 원색 등으로 가득 차 있다. 이를 통해 바스키아가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는 바로 ‘흑인’이다. 그는 백인 중심 사회에서 무시당하는 흑인의 모습을 생각하며 작품 속 흑인의 머리 위에 왕관을 씌우기도 하고, 미국 사회에서 성공한 흑인들의 정보를 이미지, 기호, 단어를 사용해 작품에 표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기도 했는데, 그것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무제』(사진②)를 들 수 있다. 바스키아의 자화상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작품 은 검은색 얼굴, 붉은색 머리, 흰색 이목구비의 형상을 통해 미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흑인의 불안정한 내면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낙서를 소재로 흑인의 삶을 표현한 장 미셸 바스키아. 그는 비록 27년의 짧은 인생, 그리고 그것보다 더 짧은 약 10여 년의 예술 인생을 살다갔지만, 그가 남긴 작품들은 지금도, 앞으로도 우리에게 긴 여운을 주지 않을까.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