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감시를 피해 건너간 만주, 만주에서 겪은 이민족의 서러움, 한국전쟁의 고통, 이승만 정부의 부정과 억압……. 1908년부터 1967년까지,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었던 역사 속에서 유치환은 시를 썼다. 그러나 그가 시를 통해 말하려고 한 것은 역사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상처받은 생명을 향한 사랑과 연민이었다. 그 예로 1950년대에 쓰인 시 <소박-양양에서>를 들 수 있다.
철모에 덤불같이 의장한 채/명령을 기다려 아무데나 앉은 자리에도/치아(稚兒)처럼 여념 없이 꾸겨져 잠든 너//(중략)꽃같이 잠든/소박한 병정이여.’
한국전쟁 당시 ‘문총구국대’를 결성해 전쟁에 참가했던 유치환은 전투가 끝난 뒤 북한 땅 양양에서 만난 어린 국군의 모습을 보고 이 시를 지었다고 한다. 나라를 위해 전쟁에 참여했지만,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의 바탕에는 휴머니즘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이 후에도 유치환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지 못하는 상황에 분개하며 많은 사회시를 썼다. 그로 인해 유치환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몸담고 있던 교직을 박탈당하기도 했지만, 문학계에서 그의 위상은 점점 높아졌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유치환을 한국 예술단체총연합회, 한국문인협회 등 많은 단체의 주요 인사(人士)로 추대하기도 했다. 이런 많은 사람들의 바람과는 달리, 시인으로 남고 싶었던 그는 모든 직책을 정리하고 시인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길 원했다. 그러나 1967년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한 유치환은 그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격동의 역사 때문에, 때로는 많은 사람들의 기대 때문에 힘겨운 삶을 살았던 유치환에게도 행복은 있었다. 그것은 바로 사랑이다. 유치환은 부인 권재순뿐만 아니라 이영도, 이란, 반희정이라는 여인들과 사랑을 했다. 특히 시조 시인 이영도는 유치환의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로, 4년 동안 유치환에게 약 2,000여 통의 편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치환은 이영도를 향한 사랑을 담아 여러 편의 시를 지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행복>이다.
‘사랑하는 것은/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나니라/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부인 외에 다른 여인들을 사랑한 유치환의 행동이 결코 옳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덮어놓고 비판할 수는 없다. 유치환의 그러한 사랑이 없었다면, <행복>과 같이 현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시들이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서정적인 시구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준 유치환에게는 ‘친일파였을 것이다’라는 추측이 늘 따라다녔다. 그러던 중 최근, <만선일보>에서 대동아전쟁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은 유치환의 산문이 발견돼 그 파장이 커지고 있다. 유치환이 친일 행동 여부에 대해 평가 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유치환을 친일 여지가 있는 ‘인간 유치환’으로 기억할 것인지, 생명과 인간을 향한 사랑을 시로 표현한 ‘생명파 시인 유치환’으로 기억할지는 우리의 몫일 것이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