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역사NGO 세계대회가 동북아 역사주간을 맞아 9월 10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시내 곳곳에서 열렸다. 그 중 12일에 열린 국내학술회의는 한ㆍ중ㆍ일의 대외적 문제를 역사ㆍ지리ㆍ정치적 관점으로 해석해 해결책을 탐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는 ▲동북아에서의 역사 갈등 ▲다민족 국가의 역사와 정책 ▲영토의 국제적 인식으로 나눠 진행됐다.


중국의 다민족 국가 통합 정책은 여러 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통합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현재 중국 땅에 거주하는 민족의 역사는 중국사에 속한다는 것이다. 이 논리가 조선족에도 적용돼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왜곡으로 나타났다.


한국외대 노명환 교수는 중국의 역사인식 문제점을 독일의 경우와 비교해 동북공정의 대응책을 이끌어내 발표했다. 노 교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갈등을 평화로 바꾸고자 노력하 독일인들과 이웃 유럽 국민들의 노력을 성찰하면 한ㆍ중 관계사의 갈등을 극복하고 협력ㆍ교류를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의 평화적 해결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과거사를 반성하고 유럽통합 역사에 동참한 것으로 시작됐다. 독일은 자국의 이익 및 정책의 합리화를 위해서라도 주변 국가를 침탈하는 것을 멈추고, 상호 협력과 교류를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독일은 과거사를 정리하고 주변국과 자국의 역사관 조화를 꾀해 공동의 역사 교과서를 편찬했다. 노 교수는 “중국은 독일의 예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평화와 번영을 추구할 수 있는 공동의 역사인식 속에서 인정과 이해로 다민족통일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술회의에 참가한 발표자와 토론자들은 동북공정의 연구결과의 논리가 허구임을 밝혀 더 이상 존속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또한 고조선ㆍ부여ㆍ 고구려ㆍ발해의 역사가 한국사라는 연구결과를 세계 각국에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날 또 다른 발표자인 서강대 박장배 교수는 동북공정은 정치문제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학술문제라며 “학술연구 측면의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동북공정 : 중국이 1953년부터 실시한 5개년 사업계획 중 제11차 산업으로 중국 사회과학원 중심으로 2002년부터 시행됐다. 이 연구는 ‘마르크스주의’ ‘경제건설’ ‘민주법치’ ‘국제전략’ ‘중화문명’등의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역사와 현황, 국가전략까지 다루고 있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