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숙케치]

 

의미도 모른 채 고국을 떠나야 했던 때가 있었다. 9·11 테러로 미국 전국민이 비탄에 빠진 지 채 일 년이 되지 않은 시기, LAX 공항에 도착한 우리 가족은 외투와 신발을 벗고 가방을 열어 우리의 순수성을 입증해야만 했다.

나는 미국 생활에 꽤 만족했다. 하늘은 청량했고, 수학 시험은 쉬웠고, 초등학생이었던 나와 친구들은 말할 것도 없이 순수했으니까. 하지만 그렇다고 한국에 대한 그리움이 수그러들진 않았다. 동네의 작은 문방구가, 처음 가져본 내 방이, 두고 온 친구들이 그리웠다.

코리아타운을 사랑하게 된 건 그런 연유였다. 한국어로 쓰인 낡은 간판. 유통기한이 지난 라면. 한국 드라마를 녹화한 비디오테이프. 20불짜리 순대. 내게 코리아타운은 향수의 장이었다.

몇 년 뒤 나는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날 기다리고 있던 건 학원과 과외, 분노와 수치였다. 라디오 PD가 되고 싶었지만 신문방송학과에도 합격하지 못했고, 라디오국에서의 인턴 생활 끝에 돌아온 건 방송계에 대한 회의감이었다.

간절했던 꿈마저 사라져버리고 허무한 날들이 펼쳐지던 2학년 여름, 교환학생을 핑계로 다시 미국으로 떠났다. 대중교통과 동양인이 없는 미국 남부 시골에서의 삶은 끔찍한 고독과 차별로 가득 차 있었다. 긴 유학 생활을 하고 있는 친구 J는 위로차 나를 맨해튼으로 초대했고, 당장 33번가 코리아타운으로 데려가 내게 설렁탕 한 그릇을 사줬다. 아, 그 흔한 국밥에서 나는 아주 예전에 느꼈던 설명할 수 없는 위안과 감동을 경험했다.

3학년이 되고 문학 창작에 대한 열의를 갖게 돼 글쓰기 수업을 수강했다. 그러던 중 문득, 촌스럽지만 사랑스러웠던 맨해튼 코리아타운의 모습을 되새기고 어떻게든 이 마음을 글로 표현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고 코리아타운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야기는 봇물 터지듯 흘러나왔고, 이틀 만에 원고지 200장이 넘는 소설을 하나 완성할 수 있었다.

후에 「코리아타운」은 ‘2015년 김용 문학상’에 당선됐다. 나는 상금의 일부를 기부한 뒤 남은 돈으로 뉴욕행 비행기 표를 샀고, 지난 2월, 그토록 그리워하던 코리아타운과 재회했다. 시간은 어둠이 진작 해를 몰아낸 저녁 7시였다. 화려한 맨해튼 한편에 작게 숨 쉬고 있는 코리아타운이 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그때 나는, 그 자리에 주저앉아 잠깐 울고 싶었다. 코리아타운을 만질 수만 있다면, 부드럽게 안아주며 ‘사랑한다’ 고백하고 싶었다.

하보라(영어영문 12)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