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미 교수의 읽는 영화]

<버드맨>

국가: 미국

연령: 청소년 관람불가

개봉일: 2015. 03. 05

러닝타임: 119분

▲ 그래픽 윤나영 기자 yoonna_10@naver.com

아카데미 시상식이 개최된 지난 주 할리우드에 세계적인 관심을 모아졌다. 독창성과 문제의식이 중시되는 국제영화제 수상작과 북미개봉작을 대상으로 하는 아카데미 수상작은 조금 다른 경향을 보여왔다. 최근 5년간 아카데미상은 비폭력적인 휴머니즘을 뛰어난 작품성으로 구현한 영화가 받아왔다. 올해 <아메리칸 스나이퍼>나 <폭스캐처> 등의 후보작을 제치고 <버드맨>이 주요상을 휩쓴 양상은 그런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 것이다. 일각에서는 아카데미상 선정위원회의 보수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순히 보수성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브로드웨이 연극무대에서 재기를 꿈꾸는 영웅시리즈물 퇴물 배우를 통해 현실과 환상의 괴리를 보여 주는 <버드맨>은 십년에 하나 나올까 말까 한 걸작이기 때문이다.

<버드맨>을 연출한 멕시코 출신인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은 2000년 데뷔작 <아모레스 페로스>로 칸 영화제 비평가주간 그랑프리, 2006년 <바벨>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여 전문가들에게 작품성을 인정받아왔다. 단지 <바벨>, <21그램>, <비우티플> 등의 전작이 성찰적 깊이는 있지만, 무겁고 어두우며 관객과 거리를 좁히는 데 성공하지 못한 것뿐이다. 그런데 <버드맨>은 그의 영화 중 가장 상징적이며 놀라운 완성도를 지닌다. 그동안 어디에서 그 끼가 감추었다가 나타났는지 모를 정도로,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의 매력이 넘친다. 무릇 이중적 상징성과 블랙 코미디의 장르적 특성도 내공 있게 조화된다.

<버드맨>은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오는 영화는 아니다. 소재 자체부터 현실의 리얼한 재현이나 가슴 뭉클한 감동과는 멀찌감치 떨어져 있다. 사회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가 분리되는 주체분열, 현실성과 환상성의 교차, 현실의 사건 자체보다는 사건이 개인에게 미치는 심리나 분위기 등 모더니즘 코드로 점철돼 있다. 재현예술인 연극이나 영화에서 리얼리티의 문제, 예술에서 있어서 상업성과 예술성의 갈등, 성공을 위해 치러야하는 대가가 성공 후에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클 때도 과연 성공이 인간을 행복하게 한다고 볼 수 있는가 등의 메시지까지 다양하게 담고 있다. 과연 향유할 수 있는 자만이 즐길 수 있는 모더니즘 영화미학이 영화를 감싼다.

또한 촬영이나 음악 등도 독창성이 돋보인다. 숨막히고 답답한 주인공의 심리 전달을 위해 미로처럼 복잡한 연극무대 뒤 공간을 커트 없이 장면이 이어지는 롱테이크 기법을 사용한 밀도있는 촬영이나 심장박동처럼 가슴을 두드리는 듯이 강한 드럼소리가 주인공의 갈등양상이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오게 만든다.

<버드맨>이 마냥 어렵기만 한 영화는 아니다. 깊이 있는 추상적 주제가 캐릭터의 상황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슈퍼히어로 ‘버드맨’으로 할리우드 톱 스타에 올랐지만 지금은 잊혀진 배우 리건 톰슨(마이클 키튼)의 곁에는 내면의 목소리가 따라 다닌다. 화면밖 목소리는 리건의 자존감을 무너뜨리기도 하고 그를 추켜세우기도 한다. 이는 내면을 직시하는 또다른 자아와 갈등을 일으키며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되비추는 것으로 볼 수 있어서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의사소통센터 황영미 교수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