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25시]

  본교 과학관에는 96개의 실험실이 있다. 그 곳에서는 각종 실험기구와 화학약품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본교에는 실험실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부서가 없다. 또한 실험기구들은 특별한 경고문 없이 복도에 배치돼 있으며 약품 보관함들은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 누구나 열 수 있다.
  언뜻 보기에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어 보였다. 이에 대해 학우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의외로 대다수의 학우들이 ‘별 생각 없다’고 답했다. 학우들뿐만이 아니었다. 담당자 측에서는‘약품 보관함을 열어 약품을 손댈 가능성’ ‘복도를 지나다 넘어지거나 부딪혀 약품이 쏟아질 가능성’ 등을 설명하자 오히려 기자의 주장이 억지라고 반박했다. 기자와 같은 걱정을 하는 학우들의 목소리에 취재를 시작했는데, 단지 기자 혼자만의 기우였던 것인가.
  지난 9월, 교육과학기술위원회가 발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실험실 안전법이 제정된 이후 5년간 대학 실험실에서 총 466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5년 전에 비해 11배 가량 증가한 수치다. 이에 대해 교과위는 연구종사자들과 학생들의 ‘안전 불감증’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물론 본교에서도 지난 15일 실험실 안전관리 전담직원을 채용하는 공고를 내는 등 안전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법을 개정하고 제재를 강화해도 안전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이 변화하지 않으면 안전사고는 근절되지 않는다. 이는 우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기자가 경험한 것처럼 학우들이 안전에 대해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관계자들도 사고 가능성에 대해 더욱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사고 예방은 고사하고 막상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어려울 것이다. 어쩌면 사고가 발생한 그 상황에서도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기 급급할지 모른다.
  무조건 ‘나와는 상관없다’ ‘내 탓이 아니다’ 하기 전에 우리가 가진 생각이, 우리가 하려는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한 번 더 고민해보자. 내 잘못을 인정하기 싫어 남을 탓하며 얼굴 붉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말이다.
저작권자 © 숙대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